데이터 엔지니어링(38)
-
[Apache Parquet] 공식 문서로 파케이 이해하기
개발 동기 우리는 어떤 하둡 에코시스템에도 사용할 수 있고 압축과 컬럼 기반 데이터 표현의 이점을 만들기 위해 Parquet를 개발했습니다. Parquet는 처음부터 중첩된(nested) 데이터 구조를 위해 개발되었으며, Dremel의 논문에 작성된 record shredding and assembly algorithm을 사용합니다. 우리는 이 접근 방식이 중첩된 name space를 단순하게 붙이는 것보다 좋다고 믿고 있습니다. https://github.com/julienledem/redelm/wiki/The-striping-and-assembly-algorithms-from-the-Dremel-paper Parquet는 효율적인 압축과 인코딩 체계를 지원하도록 개발되었습니다. 여러 프로젝트에서 데이..
2022.01.20 -
[Apache Thrift] 아파치 쓰리프트 간단하게 이해하기
개요 아파치 쓰리프트는 페이스북에서 서로 다른 언어간의 통신을 위하여 개발되었다. 원격 프로시저 호출(Remote Procedure Call)로 언어에 상관 없이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예를 들면 PHP에서 작성한 기능을 파이썬과 Go언어에서 자유롭게 호출해서 사용할 수 있다. 단순히 하나의 함수 호출이 아니라, REST API 서버처럼 자유롭게 개발을 할 수 있다. thrift와 호환되는 언어들은 모두 비슷하지만 각자 다른 인터페이스 정의 규칙을 가지고 있다. 아파치 쓰리프트에서는 .thrift 파일에 변수의 타입과 이름 그리고 함수의 매개변수, 반환값과 예외 등의 정의를 하고, thrift를 사용하여 옵션으로 변환하려는 언어를 적어주면 .thrift 파일에 입력된 정의로 각 언어에 맞게 코..
2022.01.20 -
[🔥Spark] java.lang.AssertionError: assertion failed: Concurrent update to the log. Multiple streaming jobs detected 해결방법
에러 메세지 java.lang.AssertionError: assertion failed: Concurrent update to the log. Multiple streaming jobs detected for 53 at scala.Predef$.assert(Predef.scala:223) 원인 로그에 대한 동시 업데이트, 여러 스트리밍 작업이 발견되었습니다. 스파크 스트리밍에서 동일한 체크포인트를 사용하는 두 개의 싱크 작업(writeStream)이 동시에 실행되면 발생하는 문제이다. checkpointLocation을 다른 위치로 사용하면 해결할 수 있다. Zeppelin에서 코드를 실행하고 같은 스트리밍 스크립트를 사용할 때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기존 같은 location을 사용한다. 동시에 같..
2021.11.04 -
[🔥Spark] 스파크 설정하는 방법(Spark Configuration, SparkConf)
About 세 가지 위치에서 스파크 설정을 할 수 있다. Spark properties: SparkConf 객체 사용, Java system properties 사용 val conf = new SparkConf() .setMaster("local[2]") .setAppName("CountingSheep") val sc = new SparkContext(conf) Environment variables: conf/spark-env.sh 환경 변수를 통하여 시스템별 설정 가능 # Options read when launching programs locally with # ./bin/run-example or ./bin/spark-submit # - HADOOP_CONF_DIR, to point Spark t..
2021.11.01 -
[Kafka] 카프카 적용 사례(카카오, 트리바고)
카카오의 카프카 적용 사례 RUBICS 출처: https://kakao.github.io/2016/04/27/rubics/ 루빅스는 카카오의 추천 시스템이다. 2015년에 뉴스 기사를 추천하는 서비스에서 사용이되었으며 현재는 카카오 채널 등 다양한 콘텐츠에서 루빅스의 추천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뉴스 서비스는 다른 콘텐츠에 비해서 생명주기가 짧기 때문에 사용자의 반응을 최대한 빠르게 수집 및 처리하여 추천 랭킹에 반영해야 한다. 실시간 데이터 처리 메시지큐: 카카오에서는 카프카가 데이터 손실을 방지해 줄 수 있으며 안정적이기 때문에 메시지큐로 사용했다. 데이터 스트림 처리기: 추천 랭킹을 위한 기계 학습에서 사용되며 Apache Spark Streaming을 사용하고 있다. 개발팀 내에 스칼라 언어에 익..
2021.07.20 -
[압축 방식 비교] gzip vs snappy vs lz4 vs brotli vs zstd vs lzo
개요 데이터를 수집하고 가공하고 제공을 하기 위해서 보통 아주 많은 양의 데이터들을 다루게 된다. 파일을 저장할 때 압축을 하지 않는다면 파일의 크기가 커지는 동시에 비용도 증가하게 된다. 이것을 줄이기 위해서 보통은 압축을 해서 저장을 하게 된다. 저장하는 방식에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이번에는 각 압축 방식마다 어떤 특징이 있는지 알아보려고 한다. 압축 방식들 gzip GNU zip의 줄임말이며 초기 유닉스 시스템에 쓰이던 압축 프로그램을 대체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1992년 10월 31일에 처음 공개되었다. 무손실 압축 데이터 알고리즘(DEFLATE)을 사용한다. 파일 형식 중에 하나인 타르(tar)와 함께 .tar.gz 형식으로 자주 사용된다. 이 경우 다른 파일끼리 중복되는 부분을 압축시킬 수 있다..
2021.07.10